Code Beat

화성학의 기초 구조: 음정, 음계, 화음 이해하기 본문

Beat

화성학의 기초 구조: 음정, 음계, 화음 이해하기

코-빗 2025. 4. 18. 21:36
728x90

화성학은 음악에서 동시에 울리는 음들의 관계를 분석하고 설명하는 학문이다. 이론적 출발점은 **음정(interval)**이며, 이는 두 음 사이의 높이 차이 또는 거리로 정의된다. 음정은 선율적일 수도 있고(순차적으로 들림), 화성적일 수도 있다(동시에 울림). 화성학에서는 주로 후자의 관계를 다룬다.

1. 음정의 종류

음정은 도수(숫자)와 성격(음정의 질)로 분류된다. 숫자는 기준음에서 몇 번째 음인지 나타내며, 성격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:

  • 완전음정 (Perfect): 1도, 4도, 5도, 8도
  • 장음정 (Major): 2도, 3도, 6도, 7도
  • 단음정 (Minor): 장음정을 반음 좁힌 것
  • 증음정 (Augmented): 완전 또는 장음정을 반음 넓힌 것
  • 감음정 (Diminished): 완전 또는 단음정을 반음 좁힌 것

음정은 반음 수로도 계산되며, 1옥타브는 12개의 반음으로 구성된다. 예를 들어, C에서 G는 완전5도(7반음), C에서 E는 장3도(4반음)이다.

2. 음계와 조

**음계(Scale)**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된 음들의 집합이다. 대표적으로 장음계(Major scale)와 단음계(Minor scale)가 있으며,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:

  • C 장음계 (C Major): C - D - E - F - G - A - B - C
    전-전-반-전-전-전-반 (2-2-1-2-2-2-1)
  • A 단음계 (A minor): A - B - C - D - E - F - G - A
    전-반-전-전-반-전-전 (2-1-2-2-1-2-2)

이 두 음계는 구성음이 같고 으뜸음이 다르므로 **관계조(Relative Key)**이다.


🎵 음정의 종류와 반음 수

음정 종류도수반음 수
완전 1도 (P1) 1도 0
단 2도 (m2) 2도 1
장 2도 (M2) 2도 2
단 3도 (m3) 3도 3
장 3도 (M3) 3도 4
완전 4도 (P4) 4도 5
증 4도 / 감 5도 (A4/d5) 4도/5도 6
완전 5도 (P5) 5도 7
단 6도 (m6) 6도 8
장 6도 (M6) 6도 9
단 7도 (m7) 7도 10
장 7도 (M7) 7도 11
완전 8도 (P8) 8도 12

이 표는 각 음정의 도수와 해당 음정이 포함하는 반음의 수를 나타냅니다. 예를 들어, C에서 G까지는 완전 5도(P5)이며, 이는 7개의 반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
음정은 음악 이론의 기본 요소로, 화성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 이러한 음정의 구조를 이해하면, 화음 구성과 코드 진행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.


▲ 음정의 종류와 도수별 반음 수 (출처: Wikimedia)


3. 화음(Chord) 구조

화음은 동시에 울리는 두 개 이상의 음으로 구성된다.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3화음(Triad)이다:

  • 장3화음 (Major Triad): Root + 장3도 + 완전5도 (예: C-E-G)
  • 단3화음 (Minor Triad): Root + 단3도 + 완전5도 (예: A-C-E)
  • 증3화음 (Augmented Triad): Root + 장3도 + 증5도
  • 감3화음 (Diminished Triad): Root + 단3도 + 감5도

보다 확장된 형태인 7화음(Seventh chord)은 3화음 위에 7도 음을 추가한다:

  • C△7 (장7화음): C-E-G-B
  • C7 (도미넌트7화음): C-E-G-B♭
  • Cm7 (단7화음): C-E♭-G-B♭
  • Cdim7 (감7화음): C-E♭-G♭-A

4. 다이아토닉 코드

장음계에 따라 생성되는 다이아토닉 3화음은 다음과 같다 (예: C Major 기준):

도수코드구성성격
C C-E-G 장화음
Dm D-F-A 단화음
Em E-G-B 단화음
F F-A-C 장화음
G G-B-D 장화음
Am A-C-E 단화음
Bdim B-D-F 감화음

이 구조는 대부분의 대중음악과 클래식 음악의 코드 진행의 기반이 된다.

5. 조표와 키 서클

조표(Key Signature)는 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기호이다.

  • **샾(#)**의 순서: F - C - G - D - A - E - B
  • **플랫(♭)**의 순서: B - E - A - D - G - C - F

조는 다섯도씩 순환하며 이동한다. 이를 ‘5도권(Circle of Fifths)’이라 하며, 음악 내 화성 이동의 기본 틀로 작용한다.


이상으로 화성학의 가장 기초적인 요소인 음정 → 음계 → 화음 → 코드 진행까지 구조적으로 정리해보았다. 다음 글에서는 모드(Mode), 텐션(Tension), 대리코드(Substitute Chord) 등 고급 주제로 넘어갈 예정이다.

 

728x90